공무원도 일반 직장인처럼 결혼하게 되거나,
부모님께서 돌아가시는 경우 특별휴가라는 것을 받게 됩니다.
공무원의 휴가관련 규정은 공무원 복무규정에 명시가 되어 있습니다.
국가공무원 복무규정은 아래 링크를 보시면 확인 가능합니다.
국가공무원 복무규정(대통령령)(제33905호)(20231211)
그럼 공무원이 가지는
공무원 특별휴가에 관해서 포스팅을 써보록 하겠습니다.
공무원 본인이 결혼한 경우 : 5일
공무원의 자녀가 결혼한 경우 : 1일
공무원이 출산한 경우 : 90일 (쌍둥이의 경우 120일)
공무원의 배우자가 출산한 경우 : 10일 (쌍둥이의 경우 15일)
공무원이 여성인 경우 매월 1일 여성보건휴가 가능
여성공무원이 유산 또는 사산하는 경우 임신기간별로 휴가 부여함.
1) 임신기간이 15주 이내인 경우: 유산하거나 사산한 날부터 10일까지
2) 임신기간이 16주 이상 21주 이내인 경우: 유산하거나 사산한 날부터 30일까지
3) 임신기간이 22주 이상 27주 이내인 경우: 유산하거나 사산한 날부터 60일까지
4) 임신기간이 28주 이상인 경우: 유산하거나 사산한 날부터 90일까지
*위 유산 또는 사산한 여성공무원의 배우자가 공무원인경우 신청하면 3일의 유산 및 사산 휴가를 줘야함.
1)모성보호시간 : 1일 2시간 모성보호시간 휴가 받을수 있음.
2)임신검진휴가 : 10일까지 가능
인공수정시술 : 2일
체외수정 시술 : 3일
난자채취 시술 : 4일
남성공무원 정자채취일 : 1일
5세 미만의 자녀가 있는 경우 : 1일 2시간 육아시간 휴가가능
가족돌봄휴가는 총 10일
가족돌봄휴가중 유급휴가는 최대 3일
1) 19세 미만의 자녀가 1명 있는 경우 : 2일 (유급)
2) 19세 미만의 자녀가 2명 이상 있는 경우 : 3일 (유급)
가족돌봄휴가중 4일부터 10일까지는 무급휴가임.
공무원 본인이 입양한 경우 : 20일
배우자 사망 또는 본인 및 배우자의 부모가 사망한 경우 : 5일
본인 및 배우자의 조부모, 외조부모가 사망한 경우 : 3일
자녀가 사망한 경우 또는 그 자녀의 배우자가 사망한 경우 : 3일
본인 및 배우자의 형제자매가 사망한 경우 : 1일
직무수해중 인명 피해및 사건 사고를 직접 경험하거나,
사고의 경험으로 정신적 회복이 필요한 경우
4일까지 휴가 가능
이상으로 공무원의 특별휴가에 관한 포스팅을 여기서 마칩니다.
공직에 계신분들이나, 공직 준비를 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끝.
소노 델피노 강원도 속초여행을 다녀왔습니다. 지난번 1박2일로 강원도 여행을 하다가.. 쓰러질 뻔 했습니다. 그래서…
아바이왕만두 속초여행을 하면서 2번째로 찾아낸 또갈집입니다. 바로 속초 아바이왕만두 라는 가게입니다. 위치가 속초 청호동에…
유명찐빵 오늘은 맛있는 속초 찐빵 집 포스팅을 하려합니다. 찐빵은 우리하는 호빵의 고급버전의 빵이라고 생각하시면…
강원도 막걸리술빵 속초중앙시장과 속초관광수산시장은 같은 시장입니다. 그 속초관광수산시장에서 가장 한국적인 빵을 판매하는 곳이…
포카칩3MIX 우리나라에는 가장맛있는 감자칩을 만든 회사는 오리온입니다. 왜냐? 오리온 제과에서는 포카칩이란 과자가 있기때문입니다.…
온누리상품권 할인 지역화폐보다 좋은 온누리상품권 사실 이렇게 좋을줄 몰랐습니다. 온누리 상품권을 사용하면 10%+10%…